본문 바로가기
일반 폴더

밤나무가 이좋은이유

by 해찬솔의 신학 2007. 10. 27.
수꽃은 정충 냄새 풍기고 날카로운 가시는 男性 상징
 
鄭求永 밝은빛웃음치유연구소장

잘 썩지 않는 목재
 봄은 「여성」을 상징하지만, 가을은 「남성」을 상징한다. 밤은 가을의 대표적인 과실로 결실과 풍요를 상징한다. 밤나무의 수꽃은 정충 냄새를 풍기고, 날카로운 가시는 남성의 기상을 나타낸다.
 
  전통혼례에서 폐백을 받을 때, 신부의 앞치마에 대추(棗)와 함께 밤을 던져 주는데, 이는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뜻이다. 폐백상에 날밤을 놓는 이유는 밤이 得男(득남)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밤은 가시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가시에 찔리지 않기 때문에 은총이나 미덕을 상징한다. 성경에서 열매의 껍질을 덮고 있는 가시들은 예수의 고난을 의미한다.
 
  밤은 주머니 1개에 여러 개가 의좋게 들어 있어서 형제간의 友愛(우애)를 상징한다. 밤의 황색 껍질과 흰 알맹이는 부귀영화와 생명력을 뜻하고, 다루기도 먹기도 쉽지 않아 인내를 상징한다.
 
  서거정은 『밤나무 꽃은 눈처럼 피어 향기가 진동하고, 밤송이는 송이송이 달려 하늘의 별들이 내려앉는 것 같구나』라고 읊었다.
 
  「禮記(예기)」 聘義(빙의)편에서는 『縝密以栗知也(진밀이율지야)』라고 했는데, 「지식은 밤처럼 단단하고 치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밤나무는 주로 산기슭이나 마을 주변 선산 주변에 많이 심는다. 밤나무는 효자나무라 하여 祠堂(사당)에 모시는 位牌(위패)를 만들었다.
 
  조선시대 洪萬選(홍만선)의 「山林經濟(산림경제)」에 의하면 『밤나무 목재는 우량하고 썩지 않으며 나무의 재질이 단단하다』고 했다.
 
  밤나무가 잘 썩지 않는 것은 타닌 성분이 있기 때문이다. 경주 천마총 내관의 木柵(목책)도 밤나무이다. 서양에서는 포도주를 장기 보관할 때, 밤나무로 만든 술통을 사용한다.
 
 
  피부염·탈모 치료에 효험
 
  「동의보감」에서 『下血(하혈), 吐血(토혈)할 때 밤 껍질을 태워 상복하고, 설사할 때 구운 밤 20개를 먹으면 멈추고,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을 때 하루에 생밤 10개를 먹어라』고 했다.
 
  밤은 성질이 따뜻해 오장육부의 臟器(장기)를 도와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腎臟(신장·콩팥)의 기능을 도와 혈액순환을 돕고, 血便(혈변)이 있을 때 먹으면 止血(지혈)작용을 한다. 허약체질·설사·근육통·구토 등에 좋다.
 
  밤을 상복하면 혈액순환이 좋아져 어혈이 개선된다. 밤에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칼슘·인·철분·무기질·비타민·펜토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다. 한방에서는 『밤 3개를 먹으면 補藥(보약)을 먹는 것과 같다』고 했다.
 
  밤은 젖먹이 아이의 이유식으로 알맞다. 産母(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는 밤가루를 밥물에 풀어 백설기 가루를 섞어 암죽을 끓여 먹였다.
 
  밤송이에는 세균을 죽이는 항균작용이 있어 밤송이 달인 물은 어린이 피부의 태독에 쓰였다. 타닌과 케르세틴 성분이 있는 밤나무 껍질을 말려 달여 먹이면 각종 피부염을 다스리는 효험이 있다.
 
  밤나무 잎과 밤의 떫은 속껍질을 달여 마시면 천식이나 기침(解消·해소)에 좋다. 생선뼈가 목에 걸렸을 때는 밤의 흰색 껍질을 달여 마시면 좋다. 옻독이 올랐을 때는 밤나무 잎을 짓이겨 붙였다.
 
  밤나무 껍질을 달인 물은 타박상이나 벌레 물렸을 때 환부에 바르거나, 과음했을 때 酒毒(주독)을 푸는 데 썼다. 吐血이나 下血에는 밤송이를 태워 재를 만들어 수시로 먹었다.
 
  밤나무 잎인 즙액은 화상치료에 썼다. 잎 한 줌을 400cc의 물을 붓고 끓여서 그 즙액을 수건에 적셔서 감싸 주면 화상의 상처가 아물고 새살이 쉽게 돋는다.
 
  밤송이 10개를 태워 가루를 참기름에 개어 하루에 세 번 이상 머리에 문질러 3개월 정도 바르면 脫毛(탈모)에 효과가 있다. 밤 속껍질을 음지에서 말려서 가루를 내 밤꿀과 함께 팩을 하면 피부에 좋다.●

'일반 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나무가 좋은이유  (0) 2007.10.27
소나무가 좋은이유  (0) 2007.10.27
포도가 우리몸에 좋은이유  (0) 2007.10.27
대추의 효능  (0) 2007.10.27
염소와 개 싸움  (0) 2007.10.23
배삼룡씨 투병중 세번째 부인과 이혼  (0) 2007.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