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폴더

골퍼들 농약에 노출되였다.

by 해찬솔의 신학 2007. 5. 25.
농약의 위협에 노출된 골퍼
하체 통한 접촉 가장 많아
2007년 04월 15일 | 글 | 장석원/ 미국 매사추세츠대 식물토양곤충과학과 박사후연구원ㆍ |
 
라운딩 뒤 골퍼의 신체 부위별 농약의 검출비율. 모든 부위에서 농약이 검출됐으며 잔디와 주로 접촉하는 손과 발이 높다.
지난해 우리나라 골프이용자수는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약 2천만 명이다. 실제 이용자수도 15세 이상 총인구의 3.3% 수준인 약 150만명(2004년, 통계청)으로 골프도 스키처럼 점차 생활스포츠로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열리는 골프경기가 실시간으로 TV로 중계되고 있다.

TV로 보여지는 골프 경기는 승부 외에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바로 아름다운 골프장이다. 잘 가꾸어진 녹색의 잔디사이로 아름다운 조경수와 하얀 벙커, 그리고 푸른 호수가 어우러진 18홀의 골프코스! 회색의 빌딩 숲에서 스트레스에 지쳐있는 직장인들에게 휴식을 주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하지만 아름다운 골프장은 다양한 적으로부터 잔디가 잘 보호됐기에 가능한 결과물이다.

1998년 한국식물병리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식물병명목록에 따르면 잔디 병원균은 14종에 달한다. 여기에 다양한 해충과 잡초가 잔디의 생존을 위협한다. 게다가 그린, 티, 그리고 페어웨이의 잔디는 매일 가혹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골프공의 원활한 비거리 확보를 위해 날마다 1센티미터 내외로 깎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 골프장 관리자는 수많은 적과 스트레스로부터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농약을 선택한다. 농약은 잔디 위 또는 밑에 존재하는 병해충을 대상으로 살포된다. 하지만 잔디를 보호해 골퍼에게 멋진 골프 환경에서 골프를 제대로 즐길 수 있게 하려는 의도로 뿌려진 농약은 골퍼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농약이 경기 중에 공을 잡는 손이나 다리에 묻거나 공기 중으로 날아가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신체 중 어느 부위에 농약이 가장 많이 묻을까. 2004년 11월 미국에서 발행된 ‘골프와 환경연구’지에 게재된 논문인 ‘잔디로부터 노출되는 살충제의 관리’는 골프를 즐기는 골퍼들에게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구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미국매사추세츠대의 환경 독소학 및 화학과의 퍼트남과 클락은 골퍼의 어느 신체 부위에 골프장뿌려진 농약이 얼마나 묻는지 추적했다. 이들은 골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살충제 중 하나인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를 코스에 살포한 후 100% 농약 흡수가 가능한 옷과 장비를 착용한 8명의 골퍼들을 라운드에 투입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발을 통한 접촉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무릎 아래가 전체 대비 최대 50%까지 측정됐다. 그 다음으로 공을 줍는 손이 16~30%, 흉부가 12~15% 순이었으며, 얼굴과 머리가 1~5%로 흡수된 것으로 측정됐다. 신체 모든 부위가 농약에 노출된 것이다.다행스럽게도 골퍼들에게서 검출된 농약은 미국 정부 1일 허용치의 20% 내외였다. 검출량은 농약을 살포한 후 늦게 골프를 시작할수록 급격하게 떨어졌다. 매우 적은 양이지만 호흡을 통해서도 검출돼 라운드 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연구팀은 결과를 토대로 골퍼들이 농약으로부터 더 안전해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잔류기간이 더 짧고 독성이 낮은 농약을 개발하고 사용할 것, 약제 살포 후 적절한 물주기, 코스를 나눈 후 부분적인 약제 살포, 라운드 시간과 가능한 먼 시간대에 살포하기 등이다.

비록 농약 검출량이 미국 정부 1일 허용치보다 낮더라도 골퍼들은 못마땅하다. 특히 골프공을 만진 손을 입에 대기 쉬운 어린이 골퍼를 둔 부모들의 고민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지만 채소 등을 흐르는 물에 씻으면 농약의 잔류농도가 크게 감소된다는 연구결과를 참고하면 경기 전후로 복장과 몸을 청결하게 관리하면 농약 접촉을 크게 줄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어린이 골퍼는 사전에 철저한 교육과 관리로 농약 접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1937년 합성된 살충제. 골프장, 채소 및 과수작물 재배, 아파트 방역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농약.

참고 문헌
Franklin C. A., and Worgan, J. P. 2005.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exposure assessment for pesticide. 14-43pp.
Puttnam, R. A., and Clark, J. M. 2004. Managing pesticide exposure from turfgrass. Turfgrass and environmental Research online 32:1-17.
김영숙, 박종우, 이규승, 김장억, 이영득, 박주황. 2002. 상추의 생산단계별 Chlorpyrifos 및 Procymidone의 잔류 하용기준 설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1권, 2호, 149-155
한국식물병리학회. 1998. 한국식물병명목록. 3rd. 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