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

글을 잘 쓰는 방법(2)

by 해찬솔의 신학 2007. 11. 2.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나(2)
 
 날카롭고도 유려한 문장을 구사하는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알려진 金薰(김훈·53·前 시사저널 편집장)씨는 얼마 전 완전히 文人의 길로 접어들었다. 그 길은 이미 그의 ‘자전거 여행’(생각의 나무)에서 예고된 것인지도 모른다. 시사저널 편집장 자리에서 물러난 그는 이제 저널리즘에서 놓여나게 되어 편안하다고 했다. 객관성에 천착해야 한다는 점이 늘 그에게는 부담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저널리즘의 글쓰기는 사실을 따라가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정보들 중에서 전달할 가치가 있는 정보를 추려내서 논리적으로 배열한 문장이 좋은 문장입니다. 현실은 수억만 개의 측면을 갖습니다. 관찰자가 어느 측면에 서느냐에 따라서 세계의 모습은 전혀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전달할 가치가 있는 정보를 추려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보다 더 고통스런 문제는 그렇게 조직된 문장이 이 세계의 모습과 아무런 관련도 없는 언어의 구조물에 불과하리라는 허망함입니다. 두려운 일이지요.”
 
  그는 저널리즘의 글쓰기가 기본적으로 간단명료하고 깔끔한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그것이 갖는 한계점에 회의를 드러냈다. 항상 간단한 문장만을 쓰게 되니까 그것을 읽는 국민 역시 점점 단순해지고 복잡한 사고를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 소설가 李文求(이문구), 박상륭씨는 독자가 적습니다. 지금 교육받은 사람들이 그들의 글을 읽을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저널리즘 교육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저널리즘이 저널리스틱한 문장을 포기하는 것도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공정성에 대한 강박관념, ‘편견 혹은 편파성’이라는 말 자체에 대한 편견을 지적했다. 살인사건 보도의 경우, 길이 몇 센티미터 칼로 늑골을 몇 번 찔러 현장에서 즉사시켰다는 식의 기사를 자주 쓰는데, 그것이 과연 그 사건의 핵심적인 진실인가. 金씨는 그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고 한다. 어느 위치, 몇 번째 갈비뼈, 몇 센티미터라는 건 개별 사실이지만, 여기에 사건의 핵심이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이상의 본질을 찾아 헤매야 한다는 것, 바로 거기에 저널리즘의 어려움이 있다고 말한다. 그는 저널리즘의 글쓰기가
 
  ‘客觀性(객관성)에 대한 허영’을 버릴 때 오히려 사건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한 가지 입장을 선택해야 하고, 그 한 가지 입장이 최대한 객관성을 갖고 있어야 하는 건데, 이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범죄기사를 쓸 때 한쪽을 加害者(가해자) 한쪽을 被害者(피해자), 한쪽은 善(선) 한쪽은 惡(악), 혹은 진실과 오류라 할 때, 이 양쪽 극단 사이에서 공정한 입장을 취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가해자의 입장 따로 피해자의 입장을 따로 쓰는 것이 공정보도는 아닙니다. 이건 아무런 보도도 아닙니다. 아무 말도 안 한 거와 같습니다.
 
  공정보도라 할 때 善과 惡 사이의 밸런스를 맞추는 건 아무 보도도 아닙니다. 차라리 어느 한쪽에 서서 무자비하게 편파보도를 하는 게 공정 보도라고 봅니다. 마지막에 가서 ‘국민이 판단할 일이다, 독자가 판단할 일이다’로 끝나는 글들이 굉장히 많은데, 이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에 일반 국민은 그걸 판단 못합니다. 그러면 저널리즘은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건강하고 절박한 편견
 
  그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서 글 속에 무수한 안전장치와 대피처, 후퇴로, 보급로를 설치하고 있는 글은 좋은 글이 아니라고 본다. 좋은 글이란 자기 자신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놓고, 많은 난관을 필사적으로 뚫고 나가는 것이라고 본다. ‘보편타당성’보다는 ‘건강하고 절박한 편견’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수많은 전제와 가정, 말 돌리기, 여러 가지 장치, 자기 글이 남의 글에 공격받을 것을 대비한 글쓰기…. 글쓰는 사람의 100%가 그런 글을 씁니다. 그러나 글쓰는 사람이 자기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 좋은 글을 쓸 수 없다고 봅니다. 매일 일간지에 실리는 칼럼만 해도 몇십 편이 되는데, 그게 대개 비슷한 언어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건강하고 절박한 편견이되 과학성과 논리성을 갖추어야 좋은 글이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것마저 과학성과 논리성을 갖춘 편견일 뿐이며, 그와 반대되는 내용을 전개하는 사람의 말도 과학성과 논리성을 갖출 때 또 하나의 진실이 될 수 있다는 데서 비극이 싹튼다고 본다. 이것은 언어의 兩面性(양면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그 때문에 인간의 시비는 끝이 없다고 본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어떻게든 자신의 진지함과 절박함을 확보하기 위한 싸움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표현에 있어서도 피나는 고민과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비가 내린다’라고 써야 하는지, ‘비는 내린다’라고 써야 하는지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쓰고 싶은 것이 다 써지는 것은 아닙니다. 글로 쓰여질 수 있는 것의 한계를 알아야 하고, 그 한계선상에서 그것을 넘어서려는 모색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가을에 단풍잎이 물든 것을 표현하려고 해봅시다. 그 속에 세상의 온갖 빛깔이 다 담겨 있는데 그걸 어떻게 표현할 수 있겠습니까. 그냥 단풍이 물들어 떨어진다고 표현할 수밖에. 이처럼 ‘말하여질수 없는 것’들을 마침내 말하려다 실패하는 세월을 쌓아나가야 합니다.”
  
  이는 주관과 편견의 칼날이 완강하고도 섬세하게 번득이는 글이 좋은 글이라고 덧붙였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축복인사  (0) 2007.12.30
은밀하게 구제하라  (0) 2007.12.26
하나님을 아는 방법  (0) 2007.12.26
당신을 사랑해요  (0) 2007.10.26
내가 사랑한 당신  (0) 2007.10.21
스위스 빙하 알프스 기차여행  (1) 2007.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