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USB 드라이브에 자동으로 Windows To Go 를 구성할 수 있는 설치 배치 파일을 만들어 봤습니다. 구구절절하게 설명하느니 차라리 이게 더 간단할 것 같군요. USB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하는 것과 VHD(VHDX) 를 생성하여 설치하는 것 모두 지원합니다. 작업에 ImageX 와 Bootsect 가 필요하기 때문에 함께 포함시켰습니다.
참고로 배치 파일의 작업에 포맷 과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알아서 USB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시거나 이미 NTFS 로 포맷되어 있다면 그냥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윈도우 7 에서 작업하고 VHD 가상 디스크에 설치하려는 경우, 가상 디스크의 포맷은 VHD 로 고정됩니다. 왜? 윈도우 7 은 VHDX 를 지원하지 않으니까요.
0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USB 드라이브의 루트에 압축을 해제하시고, WTG 자동 설치.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찾은 윈도우 설치 이미지에서 사용할 윈도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출력됩니다.
03. 이후의 과정은 스텝 바이 스텝으로 그냥 따라하시면 (VHD 생성), 윈도우 설치, 파티션 활성화, 부트 섹터 수정, MBR 코드 영역 수정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이 글의 해당 설명으로 이동하게끔 배치 파일을 짜놨으니 작업 도중 갑자기 이 글로 텨 온다면 해당 부분을 확인하세요.
04.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윈도우를 종료하고, USB 외장 하드(플래시 메모리)로 부팅하여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해당 과정은 기본적인 윈도우의 설치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아래는 그냥 참고해보시라고 USB 드라이브에 VHDX 를 생성하고, 그곳에 WTG 를 구성하는 과정을 담아본 동영상입니다.(USB 드라이브에 직접 설치하는 건 더 간단하기 때문에 생략) 참고로 동영상은 배치 파일의 사용까지만 담겨 있으며 전체 화면으로 보셔야 감상에 불편이 없을 겁니다.
위의 배치 파일로 설치한 WTG 로 부팅한 모습입니다.(남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을 모두 마침) 첫 번째는 USB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한 경우이고, 두 번째는 VHD(VHDX) 를 만들어서 설치한 경우입니다.
USB 드라이브에 로컬, VHD, VHDX 모두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멀티 부팅이 구성됩니다.
만약에 자식 VHD 등도 함께 구성하고 싶으신 분들은 그냥 이전의 글과 해당 글에 달린 댓글들을 참고하세요. 다시 설명하려니 급 피곤해지네요.
Windows To Go - 윈도우 8 을 USB 외장 하드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참고로 만약에 USB 외장 하드(플래시 메모리)로 부팅이 되지 않아 나머지 설치 과정을 진행할 수 없다면, 디스크 관리를 통해 WTG 를 설치한 USB 드라이브가 혹시 논리 드라이브는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위의 배치 파일은 WTG 를 설치하려는 파티션을 바로 부팅에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을 기본으로 한 것이니, WTG 를 설치할 USB 드라이브 파티션의 종류가 주 파티션이어야 합니다. 혹 USB 외장 하드를 파티셔닝하여 사용 중이라면 꼭 확인해 보세요.
[디스크 관리] 윈도우 디스크 관리의 시작 - 디스크 관리 시작하기
[디스크 정보] 디스크의 종류와 용어 1 장 - 디스크, 파티션, 볼륨, 드라이브
논리 드라이브가 아닌 주 파티션인데도 그런다면 그냥 깔끔하게 DiskPart 의 Clean 명령으로 USB 외장 하드(플래시 메모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다시 파티션이랑 생성한 후 작업 해보세요. 이게 제일 확실하긴 합니다.
[DiskPart] 디스크의 완전한 정리와 전체 공간 제로필 - Clean
[디스크 관리] 디스크 초기화 - 새로운 디스크의 인식과 기본 디스크로의 초기화
[디스크 관리] 파티션 생성하기 - 새로운 파티션의 생성
깨끗하게 정리하고 다시 파티셔닝하여 만들었는데도 안 되면 저한테 묻지 마시고 USB 외장 하드(USB 플래시 메모리)를 만든 제조사에게 물어보세요. 근데 USB 외장 하드는 위의 내용만 맞으면 부팅 안 될 일이 거의 없습니다. USB 플래시 메모리가 가끔 특성을 타서 그러죠.
배치 파일의 사용에 대해서는 다 이야기를 드렸습니다. 아래부터는 배치 파일로 작업 도중 잘못된 부분이 있을 때 자동으로 이곳으로 다시 날아오도록 만들어 놨는데 그것에 대한 메뉴얼입니다.
메인보드에 따라 다른데 처음에 바이오스가 포스팅 될 때 부트 메뉴를 호출하는 키가 전부 있습니다. 포스팅 과정을 잘 보시면 키를 출력해주니 본인의 키를 확인하시고, Asus 메인보드는 거의 F8 키입니다. 아무튼 해당 키를 누르면 부팅 가능한 장치들이 출력되고 거기에서 USB 외장 하드(플래시 메모리)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USB 드라이브로 부팅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WTG 구성을 위해 남은 윈도우 설치 과정이 진행됩니다. 설치 과정 중간 시스템이 한 번 재부팅 되는데 다시 한 번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USB 외장 하드(플래시 메모리)로 부팅하시면 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제품 키 입력 단계가 출력되면 실질적인 WTG 의 구성은 전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남은 윈도우 설치 과정을 모두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과정은 로컬 드라이브에 윈도우를 설치할 때와 다르지 않습니다.
USB 드라이브가 NTFS 가 아닌 FAT32 나 exFAT 으로 포맷된 경우에는 WTG 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USB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신 후 다시 작업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USB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USB 드라이브에 중요한 자료가 들어있다면 반드시 포맷 전 먼저 다른 곳으로 해당 자료들을 백업하세요.
02. 파일 시스템을 NTFS 로 바꿔준 후 포맷하시면 됩니다.
배치 파일이 현재 시스템에서 윈도우 설치 이미지인 install.wim 파일을 찾지 못한 경우 입니다. 아래와 같이 윈도우 8 설치 DVD 를 정상적으로 장착하였는지 확인해 보세요.
또는 윈도우 8 설치 ISO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install.wim 파일이 포함된 sources 폴더 자체를 특정 드라이브의 루트에 풀어주셔야 합니다. 그 외의 나머지 파일들은 필요 없습니다. 혹 다른 경로에 풀었거나 install.wim 파일만 루트로 풀어 놓은 게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WTG 를 VHD(VHDX) 가상 디스크에 설치하려는데, 만약에 해당 VHD 파일이 이미 USB 드라이브에 존재하고 있고, 해당 VHD 파일도 계속 사용할 생각이라면?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동시에 여러 개의 VHD 파일을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배치 파일을 수정한 후 다시 작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먼저 WTG 자동 설치.cmd 배치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줍니다. 배치 파일을 확인해보면 시작 부분에 VHD 기본 설정이 위치해 있습니다. 해당 설정을 원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확장자 제외)으로 변경하시고 저장하신 후 다시 실행하여 작업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set VHDFile=WTG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USB 드라이브에 여러 개의 VHD - WTG 를 동시에 구성하실 수 있습니다. 경로는(VHDPath) 기본으로 그냥 놔두시고, 파일 이름만(VHDFile) 적절히 바꿔가면서 작업하면 됩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8의 파일 히스토리 (0) | 2013.04.11 |
---|---|
노트북 밧데리 20배 오래쓴다 (0) | 2013.04.07 |
변종 악성유포 주의 (0) | 2013.03.25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0) | 2013.03.16 |
바탕화면(장가계) (0) | 2013.03.11 |
Nero12 사용법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