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나모 웹 에디터2006(문단과 그림 삽입)...(3)

by 해찬솔의 신학 2009. 11. 11.
   
  [나모웹에디터] 나모웹에디터 2006 - 3. 문단과 그림 삽입하기
 

 문단과 그림 삽입하기
 
01 이제 앞에서 만든 표 안에 내용을 삽입해보자. 먼저 가장 위쪽의 셀을 선택한 뒤 ‘What’s New’라고 입력한다.
 
02 입력한 문단에 커서를 놓고 ‘서식’ 패널에서 ‘제목 1’을 선택한다. 서식 패널은 편집 창 오른쪽에 있으며, 문서에서 쓰이는 서식과 스타일 등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곳이다.
 
 
 
 
 
 
 
 
  
 
 
  
 
 
 
 
 
 
 
03 서식 도구 막대에서 ‘왼쪽 정렬’을 선택해 문단을 왼쪽으로 정렬한다.
 
04 이번에는 위에서 세 번째 줄에 커서를 놓고 ‘Event’라고 입력한 뒤 ‘제목 1’ 서식을 지정하고 왼쪽으로 정렬한다.
 
05 가장 아래 줄에 있는 내용을 모두 선택하고 삭제한 뒤 위와 같은 내용을 입력한다.
 
06 입력한 문구를 모두 선택하고 ‘서식’ 도구 막대에서 글자 크기를 ‘9pt’로 지정한다.
 
07 문구를 선택한 채로 서식 도구 막대에서 ‘점으로 된 목록’을 선택한 후 점으로 된 목록을 테마에서 제공하는 그림으로 된 목록으로 바꾸려면 메뉴에서 ‘삽입→테마 구성 요소→목록에 테마 적용하기 2’를 선택한다.
 
08 점이 아닌 그림으로 된 목록으로 스타일이 바뀐다.
 
09 이번에는 표 안에 그림을 삽입해보도록 한다. 먼저 ‘What’s New’라고 입력된 셀의 아래 셀에 커서를 놓고 그림을 담을 틀을 만들기 위해 ‘기본’ 도구 막대에서 표 만들기를 선택한 뒤 1×3 크기의 표를 만든다.
 
  
 
 
 
 
 
 
10 ‘표 속성 막대’를 써서 방금 만든 표를 선택한 뒤 ‘바로보기  표’에서 ‘셀 간격’, ‘안쪽 여백’, ‘테두리’를 모두 0으로 지정한 다음 첫 번째 셀에 커서를 놓고 기본 도구 막대에서 ‘그림 삽입하기’를 누른다.
 
 
 
  
 
11 ‘그림 속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찾아보기’ 단추를 누른다.
 
12 ‘열기’ 대화 상자에서 삽입할 그림을 선택한 뒤 열기를 누른다.
 
13 다시 ‘그림 속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확인’을 누른 후 두 번째 셀과 세 번째 셀에도 같은 방법으로 그림을 넣는다. 그리고 셀 너비를 동일하게 정리하려면 표를 선택한 뒤, 메뉴에서 ‘표→자동 맞추기→셀 너비를 같게’를 선택한다.
 
14 그림이 삽입된 표가 완성된다.
 
15 이번에는 ‘What’s New’ 문구가 있는 오른쪽 옆의 셀에 커서를 놓고 ‘more’라는 아이콘 그림을 삽입한다. 그림을 삽입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다.
 
16 ‘more’라는 아이콘을 누르면 특정 문서로 연결되도록 하이퍼링크를 넣어보자. 먼저 삽입할 아이콘을 선택한 뒤 F9 키를 누른 후 ‘하이퍼링크 만들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주소(URL)’에 연결할 파일 이름을 입력한 뒤 ‘확인’을 누른다.
 
17 ‘Event’ 문구가 있는 오른쪽 옆의 셀에도 아이콘 그림을 삽입한다.
 
18 ‘Event’ 문구 옆의 셀에 있는 아이콘을 누르면 ‘board.html’로 연결되도록 하이퍼링크를 삽입한 뒤 ‘확인’을 누른다.
 
19 조금 더 장식 효과를 주기 위해서 ‘What’s New’와 ‘Event’ 제목 앞에 불릿을 넣어보자. What’s New 문구 앞에 커서를 놓는다. 메뉴에서 ‘창→리소스 관리자’를 선택한 뒤 ‘스마트 클립아트’ 탭을 선택한다. 왼쪽 목록에서 ‘불릿’ 폴더를 선택한 뒤 오른쪽에서 원하는 불릿을 더블 클릭한다.
 
20 같은 방법으로 ‘Event’ 문구 앞에서 불릿을 넣어준 뒤 ‘리소스 관리자’ 대화 상자에서 ‘닫기’를 누른다. 이번에는 수평선을 삽입해보자. 수평선은 ‘What’s New’, ‘Event’ 아래와 카피라이트 정보 위에 삽입한다. 먼저 What’s New 문구 끝에서 ‘Shift+Enter’ 키를 눌러 문단 나누기 없이 줄 바꿈을 한다. 이렇게 하면 <p> 태그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br> 태그가 입력되기 때문에 문단은 나뉘지 않고 줄 바꿈만 된다.
 
21 메뉴에서 ‘삽입→수평선’을 선택해 수평선을 삽입할 수도 있지만 테마 분위기에 맞는 수평선을 넣기 위해 메뉴에서 ‘삽입→테마 구성 요소→수평선’을 선택한다. 수평선이 삽입된다. 수평선 너비와 높이를 수정하려면 수평선 앞쪽에 커서를 놓은 뒤 ‘바로가기  그림’에서 ‘너비’에 400, ‘높이’에 1을 지정한다.
 
22 같은 방법으로 ‘Event’ 아래와 카피라이트 정보 위에도 수평선을 넣어준다. 카피라이트 정보 위에 넣어주는 수평선의 너비는 ‘460’으로 지정한다.
 
23 여기에서 표 꾸미기를 끝내도 되지만 표에 지정된 색깔을 없애려면 표에 지정된 클래스를 삭제하면 된다. 클래스를 삭제하려면 ‘태그 셀렉터’에서 ‘table.namo-table’을 누른 뒤 바로 가기 메뉴에서 클래스를 선택한다.
 
 
 
 
 
 
 
 
24 ‘클래스’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적용된 클래스’에서 ‘namo-table’을 선택한 뒤 아래쪽에 있는 화살표 단추를 누르고 ‘확인’을 누른다.
 
25 표 속성이 바뀐다.
 
  Tip  줄 바꿈 단축키 변경
기본적으로 Enter 키를 누르면 문단이 나뉘면서 줄 바꿈이 되고 'Shift+Enter' 키를 누르면 문단은 나뉘지 않은 채 줄 바꿈이 된다. 만약 이러한 키 지정을 서로 바꿔주려면 메뉴에서 '도구→프로그램 설정'을 누른 뒤 '편집' 탭에서 '새로운 문단을 만들지 않고 같은 문단 안에서 줄 바꿈'을 선택한 뒤 '확인'을 누르면 된다. 이러헥 하면 Enter키를 눌렀을 때 문단이 나뉘지 않고 줄만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