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버섯 vs 식용버섯 육안 식별 불가능…섣부른 산버섯 섭취 금물
일요일이면 집 근처 가까운 산을 찾는 주부 이현정씨(36 가 명). 지난 주말에도 어김없이 산을 찾았가 먹음직한 버섯을 발견하곤 집에 가져와 요리해먹었다가 집안 식구들이 온통 병원 신세를 져야 했던 사고가 일어났다. 그녀가 산에서 따온 버섯은 다름 아닌 독버섯!
이현정씨는 “혹시나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요리할 때 버섯을 끊여먹었던 터라 독이 있어도 없어질 줄 알았다”며 “이렇게 호되게 당하고 나니 독버섯을 함부로 먹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고 말한다.
요즘 산행을 하는 사람 가운데 운동과 함께 버섯이나 각종 약초를 찾아 산을 오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 중 산에서 발견하기 쉬운 버섯은 자칫 잘못 먹으면 몸을 상하게 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지난 27일 한 야산에서는 독버섯을 먹은 40대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 독버섯의 위험성에 대해 다시 한번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에 독버섯은 얼마나 있는 것일까?
◇독버섯, 눈으로는 식용버섯과 식별 거의 불가능
우리나라의 버섯은 약 155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식용과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은 400여종(26%)이고, 독버섯은 160종(10%), 그리고 나머지 990여종(64%)은 식용버섯인지 독버섯인지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가강현 연구원은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눈으로 봐서는 식별이 거의 불가능해 일반인이 산에서 식용버섯을 채취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독버섯은 습기가 많고 기온이 20~25℃인 장소에서 잘 자란다. 독버섯 가운데에서도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버섯은 독우산광대버섯, 붉은사슴뿔버섯, 개나리광대버섯, 알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노란다발 등이다.
특히 이 버섯들은 한 개만 먹어도 사람이 죽일 수 있는 치명적인 독을 갖고 있어 절대 주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독버섯을 보는 기준으로 화려하고 곤충의 피해가 없을 것이고 섣부른 판단을 하게 된다. 또한 소금물에 절이면 독성이 없어진다는 말도 심심찮게 떠다닌다.
이런 소문에 대해 가강현 연구원은 “버섯의 아름답고 화려한 정도는 사람에 따라 기준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차이가 많다”며 “그래서 그러한 기준으로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분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설명한다.
또 독버섯은 곤충 및 민달팽이 피해가 없다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말. 곤충과 민달팽이는 사람보다 버섯 독소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벌레가 먹는 독버섯도 있기 때문이다.
◇독버섯, 소화기계 증상 등 일으켜
건양대병원 응급의학과 박성수 교수에 따르면 야생 독버섯은 섭취 후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서 소화기계 증상, 부교감 신경계 증상, 중추신경계 증상, 디술피람 증상 등 4종류로 나눌 수 있다.
소화기계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 가운데 섭취 후 2시간 안에 오심,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하는 독버섯은 화경버섯을 예로 들 수 있다.
부교감 신경계 증상 즉 섭취 후 30분 안에 침이 많이 흐르고 눈물이 나오고 소변을 누게 되는 증상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독버섯으로는 하늘색 깔때기 버섯을 예로 들 수 있다.
중추신경계 증상 즉 섭취 후 30분 안에 어지럼증. 시각 환각, 보행 실조등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는 좀환각버섯이 있다. 섭취 후 2-72시간안에 두통, 얼굴 화끈거림, 빈맥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디술피람 증상을 보이는 독버섯으로는 먹물버섯을 예로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박성수 교수는 “각각의 버섯 섭취 후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치료는 전문적이어서 위에서 설명한 증상이 나타나면 현장에서의 응급처치는 대개의 경우 불가능하므로 곧바로 처치 가능한 대학병원 등을 방문해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고 조언한다.
메디컬투데이
'일반 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교생들의 낙태수술 계를 한다. (0) | 2007.11.18 |
---|---|
신차 쏘나타 트랜스폼(SONATA TRANSFORM) (0) | 2007.11.17 |
일본 라면캔 인기 판매 (0) | 2007.11.15 |
"팔다리 8개 印여아 수술 성공"<의료진> (0) | 2007.11.07 |
삼푸, 린스 알고 사용합시다. (0) | 2007.11.02 |
북한에 뿌려지는 삐라(전단)풍선으로 보낸다. (0) | 200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