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맥북 에어 ( part 1 )
본 리뷰어는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macintosh, 이하 맥)를 사용해 본 적이 없다. 그저 누가 사용하는 걸 몇 번 본 게, 스치듯이 마우스 몇 번 클릭해 본 게 전부다. 그 흔한 아이팟이나 아이폰, 아이패드 등도 최근에 들어서야 기사 집필을 위해 잠깐 사용해 봤을 뿐이다. 노트북 제품인 ‘맥북(macbook)’은 아예 커버조차 열어 본 적 없었다.
솔직히 그 동안 맥북 사용자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고 있었음을 시인한다. 일반 (윈도우) 노트북에 비해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기에 순전히 보여주기 위한 ‘겉멋’으로 맥북을 사용하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맥북 사용자에게 맥북의 단점을 지적해보라 하면 하나 같이 장점을 먼저 늘어 놓는다. 이에 본 리뷰어는 작품성이 없는 형편 없는 영화를 두고, 끝내 주는 영화니까 반드시 극장가서 보라고 종용하는 것과 같다고 짐작했다.
얇긴 정말 얇다
이건 말 그대로 진짜 공책(노트북)같다. 이토록 얇은 공간에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주요 부품이 다 들어있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다. 앞 쪽에서 뒤 쪽으로 갈수록 두툼해 지는데, 가장 얇은 부분은 5mm 내외에 불과하다. 또한 본체와 커버를 통 알루미늄으로 뽑아 제작해 이음새 없이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인 듯하다. 요즘 출시되는 일반 노트북은 하나 같이 투명 하이그로시 재질을 입혀 독창적인 느낌이 없는데, 맥북 에어는 ‘디자인’에 있어 역시 ‘애플’다운 면모를 유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인텔 선더볼트 연결 기술
맥북 에어를 처음 접하면서 가장 혼란스러웠던 부분이 바로 키보드다. 일반 노트북의 익숙한 키 배열, 키 배치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한글/영어 전환 방법이 가장 궁금했다. 맥북을 사용하는 지인을 통해 커맨드(command) 키와 스페이스 바를 동시에 누르면 한글/영어 전환이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평소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할 때 시프트 키 + 스페이스 바로 한글/영어 전환을 하던 본 리뷰어에게는 이런 키 조합이 그다지 낯설진 않았다.
한편, 키보드 아래로 은은한 불빛(백라이트)이 나니 어두운 곳에서도 무리 없이 타이핑할 수 있고(폼 난다), 키 배열도 좁지 않아 고속 타이핑에도 오타 발생이 적다. 이와 함께 부드러우면서 명확한 키감이 인상적이다. 키캡 표면은 손가락 끝 굴곡에 맞게 약간 움푹 들어가 있다. 키캡의 문자 인쇄 상태나 배열 등 전반적으로 고급 노트북에서나 볼 수 있는 구성이라 역시 폼 난다.
그리고 전원 어댑터에 대해 말하려 한다. 다른 노트북 제조사는 하찮게 여기는 전원 어댑터지만, 역시 ‘애플답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 디테일에 신경 쓴 모습이다. 일반 노트북처럼 전원 어댑터를 본체에 끼우는 식이 아니라, 본체와 어댑터에 자석을 대어 서로 찰싹 붙도록 해 놨다. 처음에는 이 역시 단순히 ‘폼’으로 그랬으리라 생각했다. 맥북 사용자들의 변을 들으니, 전원 케이블이 사용자의 발에 걸려 본체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쉽게 분리되게끔 한 것이란다. 그 동안 일반 노트북을 사용하며 종종 겪었던 상황이기에 충분히 납득이 된다. 발에 걸린 것처럼 일부러 전원 케이블을 확 당겨 보니 본체는 가만 있고 케이블만 탁 분리된다. 오호, 제법이다.
맥북의 백미, 터치 패드
처음에는 마우스 버튼이 없는 터치 패드가 대단히 낯설었고 사용에도 적잖이 불편했다. 아니, 정확히는 불편했다기 보다는 익숙하지 않아 더듬거렸다고 하는 게 맞겠다. 일반 노트북 터치 패드 사용에 너무도 익숙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터치 패드에 적응하기 전까지는 일반 USB 마우스를 연결해 사용했다. 그러나 터치 패드와 ‘진정한’ 멀티 터치에 적응하니 신기하게도 USB 마우스가 오히려 번거롭고 불편하게 느껴졌다(절대 과장이 아니다). USB 마우스를 꽂아 놓고 터치 패드만 썼다. 마우스를 사용하는 지금의 윈도우식 사용 환경을 만든 애플이 이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터치 사용 환경을 새로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맥북 터치 패드는 손가락 두 개로 화면을 내리고 올릴 수 있다(스크롤). 이는 일반 노트북과 동일하지만 스크롤 방향이 서로 다르다. 즉 일반 노트북은 터치 패드를 위(키보드 쪽)에서 아래(사용자 쪽)로 내려야 화면이 내려가지만, 맥북은 그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올려야 화면이 내려간다. 처음에는 단순히 특이하게 보이려 했으리라 판단했지만, 실상은 아이폰, 아이패드의 화면 스크롤과 동일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함임을 알았다. 아이폰/아이패드의 화면 스크롤도 아래→위 방향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역시 애플답다. 애플처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노트북을 모두 생산하는 국내 제조사가 이처럼 철저히 사용자를 위한 소소한 디테일에 관심을 가질 날이 과연 올까?
화면이 어쩜 이리 부드러울까
앞서 언급한 대로 맥북 에어에는 애플의 맥OS가 설치된다. 맥북 에어 신제품에는 최신 버전인 ‘OS X 라이온(Lion)’이 내장됐다. 이전 버전은 ‘스노우레오파드(Snow Leopard)’였다. 두 맥OS 버전 간의 차이는 본 리뷰어나 일반 사용자에게 큰 관심사가 아니니 번외로 하겠다(정 궁금하면 검색하라).
그 동안 윈도우 환경에 익숙해서인지(사실 윈도우는 맥OS를 본 따 만든 운영체계다) 라이온의 화면 구성이 한 눈에 들어오진 않는다. 하지만 몇 번 조작해 보니 그리 어렵지도 않다. 윈도우 계열과 유사하게 창, 메뉴 구조이기 때문이다. 해당 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하면 실행되고 종료 버튼(윈도우와 달리 왼쪽 구석에 위치)을 클릭하면 종료된다.
시스템 부팅 및 종료 속도도 대단히 인상적이다. 물론 SSD의 입출력 성능을 배제할 순 없지만, 운영체계의 구조적 특성도 부팅/종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맥북 에어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눌러 라이온 바탕화면이 뜨기까지 대략 10여 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종료는 3초를 넘지 않는다. 몇 번을 껐다 켜도,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더라도 마찬가지다. 흡사 일반 노트북의 최대 절전 모드를 보는 것 같다(맥북에도 이에 해당되는 ‘잠자기’ 모드가 있다).
거칠 것 없는 부팅/종료 속도도 맥북 만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늘 사용하는 윈도우 운영체계에는 시스템 자원을 쓸데 없이 잠식하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대단히 많은 셈이다. 물론 그로 인해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하겠지만.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하드 SSD 얼마나 빠른가?(1) (0) | 2011.11.17 |
---|---|
구형 PC에 SSD 사용해도 되나? (3) (0) | 2011.11.17 |
SSD 빠르다 빨라 얼마나 빠른가?(2) (0) | 2011.11.17 |
ASUS 젠북 출시 (0) | 2011.11.17 |
윈도 XP, 윈도7의 msconfig설정하기 (0) | 2011.11.13 |
긴 글을 빨리 복사하는 방법 (0) | 201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