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샵이 cs3에서 cs4로 새롭게 탄생하면서 기능이나 성능이 엄청나게 향상되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보면
CS4의 새로운 기능들
1)피사체를 보호하고 배경만 늘려주는 기능
보호할 피사체를 매직붓으로 대강 선택한 다음 Select>save select하고 이름을 준다음 저장, Edit>content -aware sclect 를 실행하고 옵션창에 proctect 선택영역을 지정하면 된다.
2)도장툴 사용시 복사할곳에 미리보기을 지원한다.
3)여러장의 사진을 탭으로 정리하여 그 탭을 클릭하면 사진이 열린다.
4)Adjust 메뉴가 별도창으로 뜬다.
5)Mask판넬의 편리한 사용성이 돋보인다.
6)쉬운 뽀사시 기능(버닝 닷징시 필요한 부분만 효과를 줄수 있다) 즉,protect 기능을 옵션으로 제공한다.
7)편집중인 사진을 회전하여 편집하는 기능도 있다.
8)Auto tone -사진보정이 점점 간편해 진다.
오토레벨이 없어지고 오토 콘트라스트로 이름이 바뀌고 자동 콘트라스트 컬러 발란스 만으로 부족했던지 오토톤 가능이 생겼다.
9)고급 합성(파노라마 사진만들기)
향상된 레이어 자동 정렬 명령(Auto Align-Layer)을 사용하여 더 정확한 합성을 만들고 자동 혼합 명령(Auto Blend-Layer)은 색상과 음영을 부드럽게 혼합하여 합성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준다.
*비네팅 및 렌즈 왜곡을 교정하여 필드 심도를 확장한다.
엄청난 변화가 느껴지는 가?
나야 사진을 만질 때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니 쓸 일이 별 없지만 전문가들의 반응은 과히 폭발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비싼 프로그램을 상업적이지않은 개인이 사서 쓰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니...
더러는 불법적으로도 사용을 하는 듯하다.
그래서 또한 사용상에 많은 어려움도 있고...
CS3 버젼은 크랙파일만 덮어쓰기만 하면 되는데, 이번에 새로이 나온 CS4는 엑티브코드가 없는대신 인터넷 인증을 받게 되어 있어서 크랙된 시리얼만 집어 넣게 되면 완전히 일회용이다.
그래서 포토샵을 할 때에는 인터넷 랜케이블을 제거하고 사용한다는 등 여러 어려움들도 호소하고 있고...
그래서인지 더러 떠도는 말로는 처음 설치시 시리얼을 넣지 않고 시험버전으로 설치 후 실행시켜서 그때 시리얼을 넣어야 한다고도 한다.
만약 그렇게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어차피 인터넷으로 인증 여부를 체크 하는데 그렇게 한다고 해서 될 것 같지는 않다.
가장 확실하게 끝내는 방법을 아래에 정리했으니 참조 하기 바람
=== 아래 ===
1. 정상적으로 CS4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크랙 시리얼을 구해서 입력한다.
이후,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때마다 현재의 인증번호는 사용할 수 없으니 사용을 포기하거나 다른 인증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2. C:\WINDOWS\system32\drivers\etc\에서'Hosts'파일을 찾는다.
Hosts 파일을 찾았으면 파일을 '이름바꾸기'를 통해 파일명 뒤에 확장자 [ .txt]를 붙인 후 Hosts.txt 로 만든다.
다 만들어 졌으면 더블 클릭!!!
3. Hots 본문 수정
보통은 워드패드나 메모장이 열리면서 아래와 같은 본문이 보여질 것이다.
# Copyright (c) 1993-1999 Microsoft Corp.
#
# This is a sample HOSTS file used by Microsoft TCP/IP for Windows.
#
# This file contains the mappings of IP addresses to host names. Each
# entry should be kept on an individual line. The IP address should
# be placed in the first column followed by the corresponding host name.
# The IP address and the host name should be separated by at least one
# space.
#
# Additionally, comments (such as these) may be inserted on individual
# lines or following the machine name denoted by a '#' symbol.
#
# For example:
#
# 102.54.94.97 rhino.acme.com # source server
# 38.25.63.10 x.acme.com # x client host
127.0.0.1 localhost <==== 요기 아래에다 127.0.0.1 이라는 IP 주소가 동일하도록
127.0.0.1 activate.adobe.com 이란 문장을 추가한 후 저장만 하면 된다.
만약 Localhost의 IP번호가 보기와 다르다면 컴퓨터의 Localhost IP번호와 동일하게 숫자를 입력하거나 복사해 붙이기를 한 후
activate.adobe.com 이란 문장을 추가한 후 저장만 하면 된다.
예) 254.0.0.1 localhost 일 경우에는 254.0.0.1 activate.adobe.com 이라고 아랫줄에 추가하면 된다.
이제 저장이 되었으면 뒤의 파일 확장자를 삭제하고 Hosts.txt 파일을 원래의 'Hosts' 로 되돌려 놓으면 끝!!!
위의 방법이 아니고 다른 방법으로도 수정이 가능하지만 일반인들이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한가지...
다시는 ADOBE의 업데이트가 않된다는 사실만 알면 됨!!!
참고로, 특정 은행보안키에서 hosts관련 변경 사항이 있다면서, 기존 파일과 변경(수정)한 파일을 볼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당연히 호스트파일을 변경 했으니, 발생된 확인절차적 문제이므로, 변경한 부분만 제대로 맞다면 무시해 버리면 된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XP 설치하는법 (0) | 2011.09.24 |
---|---|
모바일 기반 한글뷰어 출시 (0) | 2011.09.22 |
놀라운 아이패드2 (0) | 2011.09.22 |
MS office에서 outlook 설정하는 방법 (0) | 2011.09.10 |
캐논 60D 사용법 (0) | 2011.09.09 |
태블릿 컴퓨터? (0) | 201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