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황색고무버섯 (Bisporella citrina (Batsch.) Korf et al.) 두건버섯과 Leotiaceae(발생지)죽은 활엽수 나뭇가지, 고목위에 군생(시기)7~10월(크기)0.1~0.5cm(색깔)노란색~황갈색(특징)쟁반형~접시형을 이루며, 대는 없거나 매 우 짧고, 밑부분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용도)식용가치 없음(분포)한국,일본,유럽
S.깔대기 버섯 (Clitocybe gibba (Pers. Ex Fr.) Kummer 송이과 Tricholomataceae (발생지)활엽수, 침엽수림 내또는 혼합림 내의 땅위에 군생 (시기)6~9,10월(크기)갓 2~10cm, 대 2.5~5x0.5~1.3cm(색깔)갓,대-옅은붉은색~옅은적갈색,주름살-흰색~옅은노란색(특징)갓은 다 자라면 깔때기형이 되며 내린형주름살이다. 대는 밑부분에 흰색 솜털이 있다.(용도)식용함 (분포)한국,동아시아,유럽,북미
S. 밤송이자루접시버섯 (Ratstroemia americana (Dur.) White)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발생지)밤송이 위. 단생,군생(시기)9~10월 (크기)0.5cm (색깔)밝은 갈색(특징)접시모양이며 가는 대가 있다.(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일본,유럽,북미
S.붉은사슴뿔버섯 (Podostroma cornu-damae (Pet.) Boedijin) 육좌균과 Hypocreaceae(발생지)산림 내 썩은 나무 그루터기, 땅위.군생,단생(시기)7~10월 (크기)1~7x0.7~1.4cm(색깔)붉은색~밝은붉은색(특징)원통형으로 끝부분이 갈라져 사슴뿔 모양을 이룬다.(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일본
S.관음굴(천연기념물 제 178호) 강원도 삼척 관음굴(천연기념물 제 178호)동굴 버섯, 지하 수준면의 하강적 진화와 조화를 이룬 경사면의 퇴적물. 구시대의 유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S.새둥지버섯 (Nidula nivea-tomentosa (P.Henn.) Lloyd) 새둥지버섯과 Nidulariaceae(발생지)활엽수의 썩은나무,마른가지,고목위. 군생(시기)7~10월(크기)폭 0.4~0.6cm, 높이 0.9~1cm(색깔)외피-흰색~황갈색 내피-갈적색(특징)외피는 짧은 털로 빽빽이 덮여 있으며,내피속에 갈적색의 바둑알 모양의 소피자가들어있다.(용도)식용가치 없음(분포)한국,일본
S. 목도리방귀버섯 (Geastrum triplex (Jungh.) Fisch.) 방귀버섯과 Geastraceae(발생지)숲속 낙엽,부식질이 있는 땅위. 군생(시기)7~10월(크기)3~4cm(색깔)외피-옅은 갈색 내피-회백색(특징)5~7조각으로 갈라져 별 모양으로 펴진 외피안에 부리모양의 돌기가 나있는 공 모양의 내피가 들어있다(용도)식용가치 없음(분포)전세계
|
|
S.먹물버섯(Coprinus comatus (Mull.ex Fr.) Pers.) 먹물버섯과 Coprinaceae (발생지)풀밭,정원,길가.군생, 속생 (시기)4~10월 (색깔)갓-흰색~옅은 갈색 주름살-흰색~검은 자줏빛대-흰색 (특징)갓은 대의 반 이상을 덮고 있다가 차차종형이 된다. 갓 표면에는 옅은 갈색의갈라진 인피가 덮여 있으며 끝붙은형 주름살이며 갓 끝부터 액화현상이 일어난 다. 대에는 상하로 움직일수 있는 턱받이가 있다. (용도)유균은 식용가능 (분포)전세계 *주의해야할 독버섯-두엄먹물버섯. 갓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03_P2.jpg)
S. 노란꼭지버섯(Rhodophyllus murraii (Berk, et Curt.) Sing.) 외대버섯과 Rhodophyllaceae (발생지)숲속 땅위. 산생 (시기)7~10월 (크기)갓 1~6cm, 대 3~10x0.5~0.8cm (색깔)갓-노란색 (주름살)-옅은 붉은색 대-노란색 (특징)갓의 중앙에 연필심과 같은 돌기가 있으며 습하면 주변부에 선이 나타난다. 끝붙은형 주름살이며 대는 섬유상이다. (용도)식용불명 (분포) 한국,일본,러시아,북미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04_P2.jpg)
S.화병무명버섯(Hygrocybe cantharellus (Schw.) Hurrill) 벚꽃버섯과 Hygrophoraceae (발생지)혼합림 내 땅위, 섞은 통나무, 잔디밭 (시기)7~9월 (크기)갓 0.8~3.5cm, 대 3~9x0.1~0.3cm (색깔)갓-선홍색~주홍색 대-선홍색~밝은 노란색 (특징)갓은 중앙이 오목해지며 표면에 작은 인편이 있고 주름살은 내린형이며 성글다.대는 속이 비어있다. (용도)식용불명 (분포)한국,동아시아,북반구 일대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06_P2.jpg)
S.마귀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 (DC.ex Fr) Krombh) 광대버섯과 Amanitaceae(발생지)활엽수,침엽수림 내 땅위. 군생,산생 (시기)7~10월 (크기)갓4~25cm, 대5~35cmx0.6~3cm (색깔)갓-회갈색~황갈색, 주름살-흰색, 대-흰색 (특징)갓은 점차 편평해지며 표면에 방사상의 홈선이 있으며 흰색의 사마귀 모양 외피막 파편이 덮여있다. 떨어진형 주름살이 며 대에는 막질의 턱받이가 있으며 그 아래쪽에 섬유상인편이 있으며, 밑부분에는 구근상이며 외피막의 일부가 고리모양으로 남는다
S.색시졸각버섯(Laccaria vinaceoavellanea Hongo) 송이과 Tricholomataceae (발생지/)갈나무 등 활엽수림 내의 땅위.기주와 외생균근균 형성 (시기)6~9월 (크기)갓 3~8cm, 대 5~8x2~3cm (색깔)옅은 자주 갈색 또는 노란 갈색(특징)갓의 중앙이 오목하며 주변에 방사상 홈선이 있으며, 내린주름살 또는 완전붙은형이다. 대에는 섬유상의 세로줄이 있디.(용도)식용함 (분포)한국,일본,뉴기니
S.족제비눈물버섯(Psathyrella candolliana (Fr. Ex Fr.) Maire) 먹물버섯과 Coprinaceae (발생지)활엽수의그루터기,죽은가지위. 속생,군생 (시기)7~10월 (크기)갓 2~8cm, 대 4~8x0.2~0.4cm (색깔)갓-옅은 갈색~옅은 황갈색주름살-흰색~자주빛 갈색, 대-흰색 (특징)갓 끝에 흰색의 인피가 붙어있으며, 주름살은 끝붙은형이며 점차 짙은 색으로변한다.대에는 흰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으나 쉽게 떨어진다. (용도)식용함 (분포)전세계
S.이끼파랭이버섯 (Gerronema fibula (Bull. Ex Fr.) Sing) 송이과 Tricholomataceae (발생지)정원,삼림 내 이끼가 많은 곳. 산생 (시기)5~10월 (크기/)0.5~1cm, 대2~6x0.1cm (색깔)갓-밝은 노란색 주름살-흰색~옅은 노란색대-밝은 노란색 (특징)갓은 습할 때 반투명선이 나타나며, 갓 끝은 파도형을 이룬다. 주름살은 내린형이며 성글다. (용도)식용불명 (분포)한국,동아시아,유럽,북미
S.주름안장버섯 (Helvella crispa (Scop.) Fr) 안장버섯과 Helvellaceae (발생지)산림내, 정원땅위. 단생,군생 (시기)7~10월 (크기)갓 2~4cm, 대 3~6cm (색깔)갓-옅은 회황색. 대-흰색 (특징)말안장 모양이며 대의 표면에 세로로 홈이 파인 주름이 있다 (용도)식용함 (분포)전세계
S.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Lepista sordida (Schum. Ex Fr) Sing) 송이과 Tricholomataceae(발생지)유기질이 많은 밭,길가,풀밭. 군생,속생 (시기)6~10월 (크기)갓 3~8cm, 대 2~4x0.8~1cm(색깔)옅은 자줏빛 갈색 (특징)갓은 다 자란후에 편평해지거나 오목편평해지고 갈색으로 되며,주름살은 성글고홈형,완전붙은형이고 대의 상하 굵기가 같다. (용도)식용함 (분포)한국,아시아,유럽,북미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15_P2.jpg)
S.덕다리버섯 (Laetiporus sulphureus (Fr.) Bond. Et Sing)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발생지)활엽수의 그루터기, 줄기에 중생.갈색부후균(시기)5~8월(크기)갓 15~20cm, 두께 0.5~2.5cm(색깔)갓-노란색~밝은 노란색관공-노란색(특징)반원형~부채형을 이루며 갓 끝은 파도상 으로 얕게 갈라져 있으며 육질이다.(용도)식용함(유균만 식용,생식하면 중독됨)(분포)한국,일본,북반구 온대 이북
S. 개암버섯 (Naematoloma sublateritium (Fr.) Karst.) 독청버섯과 Strophariaceae(발생지)각종 나무 그루터기. 속생(시기)10~11월(크기)갓 3~8cm, 대 5~10x0.8~1.5cm(색깔)갓-갈황색~옅은 적갈색, 주름살-황백색~자갈색 대-흰색~황적갈색(특징)갓 표면과 대 아래쪽에 섬유상 인편이 덮여있으며, 턱받이는 없다.(용도)식용함(분포)북반구 온대 이북*혼동하기 쉬운 독버섯-노란다발버섯 갓 끝에 내피막의 일부가 붙어있다
S.흰융털구름버섯 (Trametes Pubescens (Schum. Ex Fr.) Pil.)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발생지)활엽 고목,죽은 나무위. 중생(시기)7~10월 (크기)갓 2~6cm(색깔)갓-흰색~갈황색, 관공-흰색(특징)갓은 조개껍질형이며,기왓장처럼 겹쳐져있으며 표면에 섬유상의 털이 있다(용도)식용가치 없음(분포)한국,일본,북반구 온대 이북
S.다박싸리버섯 (Ramaria flaccida (Fr.) Ricken) 싸리버섯과 Ramariaceae (발생지)침엽수,활엽수림 내 부식된 낙엽 위. 군생(시기)7~10월 (크기)3~10x3~4cm(색깔)회황색~황갈색(특징)많은가지가 1~3갈래로 갈라지며, 끝은 뾰족하고 색은 옅다.(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일본,중국,호주,북미
S.노란귀버섯 (Crepidotus sulphurinus Imai. Et Toki ) 귀버섯과 Crepidotaceae(발생지)활엽수의 죽은 나뭇가지(시기)7~10월(크기)갓 0.5~3cm (색깔)노란색,황갈색(특징)갓은 성장하면 끝이 갈라진다. 밝은 노란색 솜털이 나 있으며 주름살날 은 분말상을 이룬다. (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일본
S.능이 (Sarcodon aspratus (Berk.) S.Ito) 굴뚝버섯과 Thelephoraceae(발생지)활엽수림 내. 군생,단생(시기)9~10월 (크기)갓 10~25cm, 대 5~20cm(색깔)갓-옅은 홍갈색~흑갈색,주름살-회백갈색~옅은 흑갈색,대-옅은 홍갈색~옅은 흑갈색(특징)갓은 깔때기형~나팔형으로 표면은 거칠고 굵은 인편이 뿔모양으로 빽빽이 덮여 있으며 자실층은 대의 밑부분까지 수많은 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한향을 지닌 귀 한 버섯이다
S.노린재동충하초 (Cordyceps nutans Pat.) 동충하초과 Clavicipitaceae(발생지)산림 내 땅 속, 낙엽 밑 노린재 성충에기생, 단생(시기)7~10월(크기)4~17cm(색깔)밝은 노란색~적황색(특징)머리부분은 긴 타원형이다. 대는 광택이 있고 단단한 철사 모양으로구부러져 있으며 검은색이다. (용도)약용버섯(분포)한국,일본,중국,아열대지역
S.송이버섯 (Tricholoma caligatum (Viviani) Ricken) 송이과 Tricholomataceae (발생지)적송림(20~50년생)속 땅위.균근형성균 (시기)9~10월(크기)갓 8~25cmm, 대 10~15x1.5~3cm (색깔)갓-황갈색~짙은 갈색, 주름살-흰색,대-흰색~갈색(특징)다 자라면 갓은 방사상으로 갈라져 흰색조각이 보인다. 홈형주름살이며 갓과 대의 표면에 섬유상의 인피가 덮여 있으며 대에 솜털모양의 턱받이가 있다.(용도)식용함 (한국,일본,중국 등지에서 가장 인기있는버섯
S.긴대주발버섯 (Macroscyphus macropus (Pers.) S.F.Gray) 안장버섯과 Helvellaceae (발생지)산림 내 땅위. 단생(시기)7~10월(크기)자실체 1.5~3cm 대 3~5x0.2~0.4cm(색깔)짙은 갈색~옅은 갈색(특징)주발 모양이며 바깥쪽에 짧은털이 덮여 있으며 대의 표면에는 눌려서 함몰된 부위가있다.(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일본,북미,유럽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31_P2.jpg)
S.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Pers. Ex Pers.) 말불버섯과 Lycoperdaceae(발생지)숲속 풀밭, 부식질 많은곳. 산생,군생(시기)7~10월 (크기)2~9x2~3.5cm(색깔)흰색~황갈색,회갈색(특징)구형~조롱박형이며, 윗부분에 작은 피라미드형 돌기가 많이 달려있다. 다 자란후에는 중앙에 구멍이 생긴다.(용도)유균 식용 가능(분포)전세계 *혼동하기 쉬운 독버섯-황토색어리알버섯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28_P2.jpg)
S. 망태버섯 (Dictyphora indusiata (Vent. Ex Pers.) Fisch.) 말뚝버섯과 Phallaceae (발생지)주로 대나무 밭 땅위. 산생,군생(시기)7~10월(크기)갓 2~4cm, 대 10~25x1.5~3.3cm(색깔)갓-암록색, 대-흰색(특징)노랑망태버섯과 닮았으나 흰색의 균망을갓의 안쪽에서 펼친다. 유균은 3.5~5cm정도의 난형으로 흰색~옅은자줏빛 갈색이다. (용도)식용함 (분포)한국,일본,중국,북미
S.노루궁뎅이버섯 (Hericium erinaceum (Bull. Ex Fr.) Pers.) 산호침버섯과 Hericiaceae(발생지)활엽수 줄기위(시기)7~10월 (크기)10~25cm(색깔)흰색~노란색, 옅은 황토색(특징)긴침(수염)이 무수히 많이 모여 고슴도치모양을 이룬다. (용도)식용함(톱밥 이용한 인공재배)(분포)한국,북반구 온대이북
S. 젖버섯(Lactarius volemus Fr.(Fr) ) 무당버섯과 Russulaceae (발생지)활엽수림 내 땅위. 군생, 산생 (시기)7~10월 (크기)갓 5~15cm, 대 6~10x1.2~1.4cm (색깔)갓-갈황색~벽돌색 ( 주름살)흰색~옅은 노란색대-갈황색 (특징)갓은 점차 깔때기 형으로 되며 유액은 흰색이나 갈색으로 변하며, 신맛이 난다. 주름살은 내린형이다
|
S.난버섯(Pluteus atricapillus (Batsch) Fayod) 난버섯과 Pluteaceae (발생지)썩은 활엽고목. 군생,산생 (시기)5~10월 (크기)갓 5~9cm, 대 6~12x0.6~1.2cm (색깔)갓-회갈색, 주름살-흰색~ 분홍색.대-흰색~회갈색 (특징)갓과 대의 표면에 섬유상의 인편이 덮여있으며 갓은 건조시 비단같은 광택이 난다. (용도)식용함 (분포)한국,동아시아,북미,유럽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09_P2.jpg)
S.달걀버섯(Amanita hemibapha (Berk. Et Br.) Sacc.subsp.hemibapha) 광대버섯과 Amanitaceae(발생지)혼합림 내의 땅위에 단생,산생.균근형성균 (시기)7~10월 (크기)갓 5.5~18cm, 대 10~17x0.6~2cm (특징)달걀형의 유균에서 차차 자라며, 갓의 표 면은 약간의 점성이 있으며, 가장 자리에 방사상의 선이 있고 떨어진형 주름살이다. 대에는 갈라진 섬유상의 짙은색 인편이 있으며 윗부분에 막질의 턱받이가 있고 밑부분에 막질의 흰색 대주머니가 있다. (용도)식용함 (분포)한국,동아시아,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10_P2.jpg)
S.앵두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Peck) 송이과 Tricholomataceae (발생지)산림 내 낙엽위. 군생,산생 (시기)6~10월 (크기)갓 0.8~1.5cm, 대 3~6x0.2cm (색깔)갓-옅은 붉은색~자주빛 붉은색,주름살-흰색,대-흑갈색 (특징)갓은 반구형이며 방사상의 홈선이 있고 주름살은 성글고 완전붙은형이며 대는 철사모양이다. (용도)식용불명 (분포)한국,일본,북아메리카
S.갈색꽃구름버섯 (Stereum ostrea (Bl. Et Nees) Fr. ) 꽃구름버섯과 Stereaceae(발생지)활엽수 나뭇가지. 반배착생(시기)7~10월(크기)갓 1~5cm 색깔/갓-회백색,적갈색,짙은갈색,관공-갈색~화황갈색(특징)부채모양을 하며 고리무늬를 이루며,비로 드 같은 짧은 털이 나있다.(용도)식용불명(분포)전세계
|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data2/orign_img/photo_210912/210912-0117_P2.jpg)
S.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 Fr. Ex Fr.) 치마버섯과 Schizophyllaceae (발생지)활엽수,침엽수 고목,용재(시기)5~10월(크기)갓 1~3cm(색깔)갓-흰색,주름살-흰색(특징)대는 없으며,부채형 내지는 조개형을 이루며 갓 둘레는 손바닥처럼 갈라지며,거친 털이 밀집해 있다. 주름살은 표면에가는 털이 나있다.(용도)식용불명(분포)한국,전세계
S.노랑싸리버섯 (Ramaria flava (Schaeff. Ex Fr.) Quel) 싸리버섯과 Ramariaceae(발생지)산림 내 땅위(시기)9~10월(크기)10~20x7~1.5cm (색깔)/레몬색~유황색(특징)다 자란후에는 황토색이 되며 긁히면 붉게 변한다. 용도/독버섯(설사,구토증상)(분포)한국,일본,유럽
자연산 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5_5_18_34_51_109_2-tktka99dirch.jpg)
노름바래기 버섯.죽은 느릅나무에서만 가끔 발견되지요.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5_5_18_33_38_468_2-tktka99dirch.jpg)
무리지어 있는모습.노랑바래기..(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7_6_21_57_53_796_2-tktka99dirch.jpg)
여름 7월부터 9월까지 참나무나 박달나무에서 가끔 발견되는 자연산 표고버섯.(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9_0_12_58_39_484_2-tktka99dirch.jpg)
칡에서 귀하게 발견되는 자연산 느타리버섯.(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8_5_15_39_49_15_2-tktka99dirch.jpg)
참나무나 개금나무 고목에서 9월말에서10월초까지 나오는 개금버섯.(식용버섯.)
노루궁뎅이버섯. 항암에 도움(약용 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8_4_7_47_8_953_2-tktka99dirch.jpg)
9월 송이버섯 나오는계절에 가끔 발견되는 먹버섯.(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8_3_18_45_52_468_2-tktka99dirch.jpg)
덕다리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3_0_18_12_4_593_2-tktka99dirch.jpg)
참나무나 상수리나무에서 나오는 덕다리버섯.(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4_1_19_35_50_687_2-tktka99dirch.jpg)
말굽버섯.참나무나 구나무에서 가끔 발견되지요(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1result_2007_8_1_20_46_16_406_2-tktka99dirch.jpg)
참나무 그루턱에서나오는 말굽버섯. 보기엔 상황버섯과 흡사하나 상황버섯이 아닙니다!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8_1_20_49_24_875_2-tktka99dirch.jpg)
참나무에서 가끔 여름에 발견되는 상황버섯과 흡사한 버섯.가을이면 썩어 떨어집니다! (약용불가능)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8_3_18_41_35_578_2-tktka99dirch.jpg)
보기는 좋으나 식용불가능한 버섯입니다! 여름에 이 버섯을드시고 병원 신세지는 분이 가장 많습니다!(식용불가능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6_2_18_11_39_390_2-tktka99dirch.jpg)
달갈버섯.일명 꾀꼬리버섯이라고도 불리지요.(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8_2_20_57_42_531_2-tktka99dirch.jpg)
소나무 그루턱에서 가끔 발견되는 잔나비 걸상 일명 소나무 상황이라고도 불리지요.(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8_1_21_5_34_734_2-tktka99dirch.jpg)
꼬깔버섯.독성은 없으나 식용으로는 아직 사용해보신 분이 없는듯..(않먹는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7_6_20_26_54_765_2-tktka99dirch.jpg)
싸리버섯.여름이나 가을에 산행하시다보면 가끔 발견되지요..데처서 소금물에 1시간이상 담궜다 드시면 맛갈납니다!(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6_0_15_47_25_31_2-tktka99dirch.jpg)
송이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6_2_22_47_46_156_2-tktka99dirch.jpg)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7_4_17_18_3_796_2-tktka99dirch.jpg)
살아있는 소나무 가을 여름7월에도..가을9월에 온도가 잘 맞으면 나오지요.저녁기온 17도이하낮기온 25도 이상이면
송이버섯이 잘 나올 수 있는 온도입니다! 이 버섯을 많이드시면 목소리가 아름답고 암 예방에도 도움 (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7_6_5_16_44_40_796_2-tktka99dirch.jpg)
밤버섯.일명 가송이.송이버섯나오는계절에 습기 많은곳에서 무리지어 나옵니다!(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2_0_2_0_17_2_31_2-tktka99dirch.jpg)
능이버섯.살아있는 참나무굴락지에서 9월중순 경에 나옵니다! (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7_4_11_40_15_62_2-tktka99dirch.jpg)
영지버섯.죽은 참나무나 구나무 구루에서 발견되지요.(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6_5_19_15_4_0_2-tktka99dirch.jpg)
망태버섯.그물버섯 이라고도 불리지요.일본에서는 최 고급 버섯으로 알려져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식용을 하지 않는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6_4_16_50_21_640_2-tktka99dirch.jpg)
꽃송이버섯. 살아있는 소나무 엽에서 가끔 발견되지요.일본에서는 재배도 한답니다! 항암에도움 (약용 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5_4_20_54_33_453_2-tktka99dirch.jpg)
보기엔 상황버섯과 흡사하나 식용불가능한 밤나무에서 나오는 버섯이지요.(식용불가능)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6_0_22_39_41_781_2-tktka99dirch.jpg)
갓버섯.습기가 많은곳에서 여름 7월부터 9월가지 산 어느곳에서나 발견되지요.(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7_4_17_16_54_640_2-tktka99dirch.jpg)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10_0_20_32_35_906_2-tktka99dirch.jpg)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5_3_15_49_17_171_2-tktka99dirch.jpg)
뽕나무상황버섯.바람이 많이불고 통풍이 잘되는 고산지대에서 귀하게 발견되지요. 항암에 도움 (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5_1_20_54_56_562_2-tktka99dirch.jpg)
죽은 소나무에서 발견되는 개금버섯과 흡사하나 식용불가능버섯입니다! (식용불가능)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2_0_2_0_12_59_187_2-tktka99dirch.jpg)
먼지버섯. 가운데 구멍에서 건들면 먼지가 나옵니다! (식용불가능)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7_4_0_11_33_239_2-tktka99dirch.jpg)
죽은 황철나무에서 발견되는 황철상황 항암에 도움.(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3_5_19_18_6_312_2-tktka99dirch.jpg)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3_5_19_17_9_593_2-tktka99dirch.jpg)
갈매나무 상황 일명 쥐똥나무 개화나무라고도불리는 나무에서 발견되지요.항암에 도움.(약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3_3_9_20_3_562_2-tktka99dirch.jpg)
바위를 녹이며 자라는 석이버섯.항암에 도움.(약용 식용버섯.)
![](http://wkdustks.com/bbs/imgup/result_2006_3_0_18_16_12_203_2-tktka99dirch.jpg)
운지버섯.(약용버섯)
|
|
| | | | | | | | | | | | | |
|
| | | | | |